2025년 10월 기준 금 시세는 연일 변동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최근 1돈 금값이 얼마나 되는지 금을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는 어느 정도인지 그리고 향후 금값이 오를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최신 금 시세 정보를 기반으로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 실물 금 투자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꼭 참고해야 할 정보입니다.
1돈 금값 (2025년 10월 기준)
2025년 10월 10일 기준으로 신한은행 금 계산기에 따르면 1돈(3.75g) 금을 실물로 구입할 때의 가격은 785,549원(VAT 포함)입니다. 그리고 동일한 무게의 금을 팔 때는 646,388원을 받게 됩니다. 즉 구매가와 판매가 사이에 약 14만 원가량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는 단순히 금 시세 차이뿐 아니라 부가세, 유통 마진, 수수료 등의 요소가 포함된 결과입니다. 금은 단순한 재화가 아닌 변동성이 있는 투자 자산이기 때문에 구매 전후의 가격 차이를 반드시 인지해야 합니다.
1돈 금값 월별 시세
2025년 들어 금값은 뚜렷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다음은 최근 몇 달 간의 1돈 기준 월별 금 시세(실물 구매 기준) 요약입니다.

올해만 놓고 봤을 때 약 10만 원 이상 상승했으며 특히 8월 이후로는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경제 불안정과 미중 갈등 그리고 원자재 가격 인상 등과 맞물린 결과로 분석됩니다.
금 살 때 가격과 팔 때 가격 비교
금 투자의 핵심은 '살 때와 팔 때의 가격차'를 이해하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2025년 10월 기준 1돈(3.75g)의 금을 살 때는 약 78만 5천 원이고 팔 때는 약 64만 6천 원입니다. 차이는 약 13만 9천 원 즉 약 17.7%의 손실이 발생합니다.
여기서 또 하나 중요한 요소는 계좌 입금 시와 출금 시 시세 차이입니다.
- 계좌 입금 시: 687,213원
- 계좌 출금 시: 673,605원
금 통장을 이용하더라도 여전히 매도/매수 시점의 금리가 적용되며 실물 금보다 비교적 적은 차이를 보이긴 합니다. 일정 부분 수수료와 마진이 존재합니다.
금값이 더 오를까?
현재 금값은 역사상 최고가 수준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금값이 더 오를 가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합니다:
- 미국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2025년 하반기 미국 연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달러 약세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금 가격 상승 요인입니다. - 중동 정세 불안정
지정학적 리스크는 안전자산인 금의 가치를 높이는 요인이 됩니다. - 원자재 전반의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금도 예외는 아닙니다. - 중국과 인도의 금 수요 증가
문화적, 경제적 특성상 이들 국가는 금 수요가 꾸준히 높은 편입니다. 2025년 하반기에도 소비 수요는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금값은 단기적으로 조정이 있을 수는 있어도 중장기적으론 상승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중론입니다.
골드바 가격
골드바는 단순한 액세서리용 금과는 달리 순도 99.99%의 투자용 금입니다. 골드바 가격은 중량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일반적으로는 100g, 1kg 단위로 판매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10월 기준 100g 골드바의 시세는 약 20,950,000원 수준입니다. 부가세 포함 시 약 2,300만 원 이상이 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골드바는 구매 후 환급/교환이 어렵고 매도 시 절차가 까다롭기 때문에 장기 보유 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신뢰할 수 있는 제조사의 골드바인지 꼭 확인해야 하고 한국조폐공사(KOMSCO) 인증 제품이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금 사고 팔때 이것을 확인하자
금은 오랜 시간 동안 가장 안정적인 자산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특히 최근처럼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는 금 투자의 매력이 더욱 높아집니다. 하지만 단기차익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실물 금과 금 통장, ETF 등 다양한 방식 중 자신의 투자 성향에 맞는 수단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현재 1돈 금값은 약 78만 원대이고 팔 때는 64만 원대로 약 14만 원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따라서 금 구매 전에는 반드시 시세 차이, 부가세, 환매 조건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하고 매도 타이밍 또한 전략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글의 요약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표
금 질량은 3.75g(1돈) 기준이며, 신한은행 기준 시세입니다.
2025년 10월 10일 기준 1돈(3.75g) 금 시세 비교표

참고사항
- 실물 구매가와 실물 판매가의 차이: 약 139,161원 (17.7%)
- 계좌 거래 시는 실물보다 매매 차이(스프레드)가 적은 편
- 실물 구매 시에는 반드시 부가세 포함 여부를 확인해야 함
자주 하는 질문 5가지 (FAQ)
Q1. 1돈은 몇 g인가요?
A. 1돈은 3.75g입니다. 한국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금의 단위입니다.
Q2. 금 살 때 부가세는 얼마인가요?
A. 실물 금 구매 시 10%의 부가세가 포함되어 있고 표기된 가격에 이미 포함돼 있는 경우도 많습니다.
Q3. 금은 어디서 사는 것이 좋나요?
A. 신뢰할 수 있는 은행, 금 거래소, 한국조폐공사 인증점 등에서 구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Q4. 금 통장이란 무엇인가요?
A. 실물이 아닌 계좌로 금을 사고파는 상품입니다. 실물보다 저렴한 수수료로 거래 가능하지만 실물 인출 시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Q5. 금 투자는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A. 금 투자 타이밍은 경제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불확실성이 클수록 금값은 오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단기보다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